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힘을내요, 미스터리 포스트
    힘을내요 미스터리 포스터

    소개

    "힘을 내요, 미스터 리"는 2019년 9월 11일에 개봉한 한국의 코미디 드라마 영화로, 대구 지하철 참사라는 비극적인 사건을 배경으로 하여, 그 속에서 피어난 희망과 사랑을 이야기하는 감동적인 영화입니다. 이계벽 감독이 연출하고 차승원, 엄채영, 박해준 등이 출연해 영화의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 영화 속 철수는 당시 사고 현장에 투입된 소방관이자, 그 사고로 아내를 잃은 남자입니다. 또한 그때의 사고로 기억상실과 지적장애를 가지게 된 남자의 이야기입니다.

    줄거리

    대복 칼국수라는 식당을 운영하는 평범한 총각인 철수(차승원). 동생 영수(박해준)네 가족과 함께 운영하는 이 식당에서 철수는 훤칠한 키와 잘생긴 외모로 인기가 많다. 다만 입만 열지 않으면 말이다. 사실 철수는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다. 철수는 매일 자신을 잘 챙겨주는 김 씨가 운영하는 체육관에서 운동을 하며 근육질 몸매를 자랑하고 다닌다. 어느 날, 철수는 길을 묻는 아줌마의 차에 타게 되고 함께 병원에 가게 된 철수는 온갖 검사를 받게 된다. 병원에서 우연히 아이 샛별이(엄채영)를 만나게 되고, 자신에게 숨겨진 딸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아무리 정신지체라 하더라도 딸에 대한 사랑이 컸던 철수는, 우연히 만난 딸인 샛별이 백혈병에 걸렸다는 사실도 알게 된다. 백혈병을 앓고 있는 샛별에게는 골수가 필요했고 희자(샛별이 외할머니)는 친아빠인 철수를 찾아왔던 것이다. 철수는 몰랐던 딸의 존재를 알게 되어 다시 한번 병원에 보러 갔다가 샛별이 병원을 몰래 나오는 것을 보고 그대로 따라가게 된다. 샛별은 야구선수의 사인볼을 받기 위해 아무도 모르게 슬쩍 빠져나와 대구로 가려했던 것이다. 철수는 샛별을 몰래 뒤따라가다가 엉겁결에 같이 대구로 가게 되었다. 하필 샛별의 외할머니와 삼촌들은 샛별과 철수가 갑자기 사라진 걸 알게 되고 수소문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둘이 대구로 갔다는 걸 알게 된다. 철수와 샛별은 대구에서 건달도 만나도 돈도 뜯기기도 하지만, 겨우 야구선수의 사인볼과 모자를 얻어서 백혈병 친구에게 전달한다. 이후 다시 서울로 가는 표를 끊었지만, 샛별이 너무 무리해서 그런지 갑자기 길바닥에 쓰러지고 만다. 철수는 샛별을 앉고 지하철을 내려가려 하지만 겁을 먹고 주춤한다. 이때 동시에 과거가 교차 편집된다. 이를 본 시민들의 도움으로 병원을 갈 수 있었다. 사실 철수, 샛별이, 김 씨는 2003년에 지하철에서 벌어진 한 참사의 피해자들이었다. 당시 소방관이었던 철수는 자신의 아내가 어떤 상황에 처했는지도 모른 채 출동을 했고 연기 때문에 출입하기 어렵다고 기다리라는 상관의 말도 무시한 채 동료들과 함께 안으로 들어가 많은 사람들을 구해냈다. 하지만 지하철 안에 아내인 해령이 있다는 것을 알고 다시 안으로 들어갔다. 다행히 철수는 의식을 잃은 아내를 찾아내고 바깥으로 나가려 했지만 그곳은 철문으로 가로막혀 있었다. 철수는 의식을 잃은 아내를 품에 안고 눈물을 흘리며 눈을 감았다. 동료들이 찾아와 두 사람은 구조됐지만, 아내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하였고, 철수는 연기를 많이 들이마신 후유증으로 지적장애인이 되어버렸다. 그나마 샛별이는 무사히 출산됐으나 산모가 받은 충격 때문인지 소아 백혈병 환자가 되고 말았다.

    결말 및 느낀 점

    철수는 자신의 피를 주겠다고 하지만, 검사결과 철수는 부적합이라는 판정이 나오고 철수는 자신이 바보라서 그러냐며 심한 자책을 한다. 하지만 철수와 샛별이의 대구 모험이 헛된 게 아니라는 듯 철수와 샛별이의 이송 소식이 뉴스에 나오게 되고 여러 사람들이 검사를 하겠다고 병원을 찾아온다. 이후 치료가 다 끝나 병실에 누워있는 샛별이를 보러 온 철수. 샛별은 철수에게 자신이 생각했던 아빠랑은 많이 다르지만, 그래도 자신은 그런 아빠도 좋다고 하고, 철수는 샛별이에게 아프지 말라는 말을 하며 걱정을 한다. 그리고 샛별은 그런 철수를 껴안으며 영화의 결말을 맺는다. "힘을 내요, 미스터 리"는 단순한 코미디 영화를 넘어 대구 지하철 참사라는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그 사건이 남긴 상처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내었다. 과거의 아픔을 기억하고, 현재의 소중함을 느끼게 해주는 영화로 남았다. 많은 이들이 삶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게 한 작품이었다.

    반응형